SpringBoot (49) 썸네일형 리스트형 #54 [Springboot] 객체를 jsp로 전달(상세조회), css/img 넣기 상세조회 1. 이미 있는 DeptSerive에서 상세조회 하기 2. DeptController에서 작성 - 이건 전체 조회 -이건 상세 조회 상세조회는 보통 기본키로 조회를 함! 왜냐면 기본키가 중복이 안되는 키라서 보통 부서번호, 사원번호가 상세조회 3. 이쁘게 꾸미기 (부트스트랩 5.23 버전 - 컨텐츠 - 테이블) : dept_id.jsp로 가서 머리말, 본문, 꼬리말 삽입 머리말 : 본문 : 부트스트랩 테이블 복붙 꼬리말 : header에는 css, footer는 js js는 항상 맨 밑에 넣어야 함. 근데 footer도 항상 맨 밑에 있으니까 footer에 js 넣기 4. div로 테이블 중앙정렬 시키고, 테이블 수정 연습 2) // MemberService 클래스를 만들고 findById() .. #53 [Springboot] 객체를 jsp로 전달(@Service, @Autowired, 전체조회), 메뉴 달기 새 프로젝트 생성 & 환경설정 1. 파일 생성 2. 프로젝트 생성 3. 라이브러리 추가 4. 체코꺼라 한글 설정 5. application.properties 6. jsp 파일 만들기 : 원래 views 까지만 만들면 되는데, 실습을 위해 (폴더가 많을거라서) exam01 까지도 만들기 7. 실습위한 파일 다운받기 @noArgsmConstructor : 속성 없는 생성자 8. controller, service 폴더 만들기 9. resources 밑에 카톡 다운로드 받은 파일 추가 service - exam01 - DeptService : 부서 조회 예제 spring 코딩 : MVC 디자인 패턴에 의해 코딩함 1. C (Controller) : 화면과 모델을 연결시켜주는 역할, url이 있고, jsp로 .. #52 [Springboot] @ModelAttribute, @PathVariable, @RestController 4. ObjectParamController @ModelAttribute : 객체(클래스)를 전달받아 jsp를 전송하는 어노테이션 예제 1) 객체(클래스)의 속성(필드) 명으로 jsp로 전달하기 1. 일단 함수 먼저 만들기 2. 회원명과 회원id를 저장하는 model 폴더 만들기 3. model 폴더 안에 Member 클래스 만들기 4. 생성자, Getter/Setter 함수 만들기 public class Member { // 클래스의 3요소 : 속성(필드), 생성자, 함수(메소드) String id; // 회원 id String name; // 회원명 // 생성자 : 단축키 (alt + insert) public Member(String id, String name) { this.id = id; thi.. #51 [Springboot] @RequestParam(default=""), @RequestMapping, Arraylist로 배열전달, 반복문, 조건문 2. ParamController @RequestMapping : 공통 url은 생략 가능, 함수의 url과 결합되어 사용됨 @RequestParam : 쿼리스트링 방식으로 변수에 값을 저장해서 결과를 출력하거나 다른 페이지로 전달 * @RequestMapping("/공통url") : 공통 url은 함수의 url과 결합되어 사용됨 * ex) http://localhost:8000 : 스프링부트의 기본 주소 * http://localhost:8000/공통url/함수url * 퀴리스트링 방식 :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값을 넣어 페이지로 결과를 출력하게 하는 방법 * 또는 다른 페이지로 값을 전달도 가능 * 사용법 : http://localhost:8000/함수url?변수명=값 * (?변수명=값 : 쿼리스트링 .. #51 [Springboot] @Controller, @GetMapping, Model 구조(키, 값), 모든 자료형, 디버깅 IntelliJ / 웹 -> 웹으로 환경설정해보기 이거 눌러서 설정해도 됨 00_spring-web을 하나 만들고 그 안에 다운받은 ControllerExam 만들기 gradle 이란 폴더가 있는곳(ControllerExam 안) 바로 위(ControllerExam 폴더를 끌어서)에서 IntelliJ로 열기 IntelliJ / 웹 -> IntelliJ로 환경설정해보기 설정가서 한글 설정 jsp 만들기 파일 만들기 web-app 경로 - WEB-INF 경로 - views 경로 // 여기까지가 기본 주소 - exam00 경로 - hello.jsp jsp파일 // 추가한 주소 build.gradle 가서 라이브러리 추가 application.properties # 서버 포트 : 기본포트(8080) -> 800.. #51 [Springboot] 기본 HelloWorld 출력 controller - HelloWorldController 파일 생성 resources - application.properties 에 작성 # 서버 포트 : spring 기본포트(8080) -> 8000 # 포트 : 인터넷 주소 : http://ip:포트번호 # ex) http://192.0.0.1:포트번호, http://www.naver.com:포트번호 server.port = 8000 # jsp (수동 설치 : 환경) : jsp 는 WEB-INF 폴더 밑에 작성됨(jsp 문서 추천내용) # WEB-INF 폴더아래 있음을 spring에 알려줘야함 spring.mvc.view.prefix=/WEB-INF/views/ # (옵션:생략가능) 자바 소스 수정시 자동 재시작 기능 spring.devtools.. #50 [Springboot] 환경설정, JSP 파일 생성 스프링부트 : 백엔드 프레임워크 스프링부트 통해 자바 코딩함, IT쪽에서 일하려면 필수로 배워야 함 프로젝트에서 자주 사용하는거 위주로 먼저 배움 JSP : 백엔드의 기본적인 언어. JAVA로 만들어져있음. 웹 페이지로 표현하기 위한 새로운 표현법들이 있는데 그걸 배우기 Springboot 정리 : HELP.md 에 작성 Spring(환경 복잡) -> (버전업) -> Spring boot(환경 간소화) 환경 설정 : 뉴 프로젝트 실행 시 : spring initialize 메뉴 선택 jdk 버전 : 17 압축 : War 선택 War, Jar : 자바의 압축기술 War : 웹 프로그램 압축 Jar : 일반 프로그램 압축 패키지(라이브러리) 선택 : 1) spring boot devtool 2) lombok.. #50 [IntelliJ] 상용 툴 환경설정 07_Backend - 01_Coding_Test 파일 생성 무료 버전 상용 버전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 이름, 파일 위치, Gradle : 세계 표준이라서 이거 선택, 샘플코드 빼기, Groovy 선택 환경설정 플러그인 설치 korean : 한국어 atom : 폴더 이쁘게 보기 indent : tab키 이쁘게 도움말 - 사용자 지정 VM 옵션 편집 - 붙여넣기 -Xmx2048m -Dfile.encoding=UTF-8 -Dconsole.encoding=UTF-8 마우스로 크기 조절 언어 UTF-8로 통일 파일 - 캐시 무효화 - 전부 다 체크 후 다시 시작 클릭 자동 주석 입력 /** * packageName : ${PACKAGE_NAME} * fileName : ${NAME} * author : ${U..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