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 (49) 썸네일형 리스트형 #58 [Docker, sql-developer] 설치 및 작동 Docker hub 1. Docker hub 홈페이지 - 설치 2. 명령 프롬프트 - 적고 실행 3. docker 프로그램에서 재생 누르고 데이터 2기가 넘게 올라올때까지 기다리기 docker run --name oraclexe-18c -p 1521:1521 -p 5500:5500 -e ORACLE_PWD=Ds1234567890 kangtaegyung/oraclexe-18c sql developer 1. 관리자 계정 만들기 : docker_oracle_scott 2. 스콧 계정 만들어주기 -- 개발자 계정 생성 : scott -- (개발시 관리자 계정은 사용하지 않음) -- sql 주석 ( ctrl + / ) -- 계정명 : SCOTT -- 패스워드 : !Ds1234567890 -- 유저가 사용할 기본 .. #57 [JPA] Dept 메뉴 (Model ~) 1. 폴더 만들기 2. 코딩 순서(항상 이 순서대로 작성) => model - repository - service - controller - jsp 전체 조회하는 함수 만들기 1. Dept 작성 (이게 최종코드) DB랑 SQL를 연결하는게 JPA(Java Persistence API) -> 그래서 오늘 배운것 JPA : SQL 을 자동생성해주는 함수를 제공하며, 개발자가 SQL 을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공 api == library docker에 db를 띄움. 띄워져있는걸 볼수없는데 그걸 볼수있게 하는게 sql-developer * TODO: * - JPA : SQL 을 자동생성해주는 함수를 제공(기본 기능) * SQL 을 직접 작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복잡 기능, 불완전) * + 실무에.. #56 [JPA] IntelliJ 환경설정 1. Docker 접속 2. scott 계정으로 sql-developer 접속 3. sql-developer 새 시트에 카톡 파일 2개 붙여넣기 + 재생해서 테이블 만들어놓기 1. 파일-설정-에디터-파일 인코딩 : 전부 UTF-8로 수정 2. application.properties 3.build.gradle 라이브러리 추가하기 4. logback-spring.xml : 패키지명 수정 5. application.properties에 붙여넣기 실행 누르면 Started JpaExamApplication 뜸 -> 정상 #56 [Springboot] Faq 연습문제 조회 1. 전체 조회 : list 배열을 화면에 띄워야하니까 model 에 담아서 보내야함. 변수는 list 2. 상세 조회 : faq 변수를 만들어서 model에 담아서 보냄 추가 @PathVarieble 은 변수 하나만 전달받음. 그래서 변수가 하나라면 @PathVariable을 쓰는게 좋음 변수가 여러개인데 @PathVariable 쓰려면 @PathVariable을 여러개 써야함 @ModelAttribute는 여러개를 전달받음. 훨씬 효율적임 객체를 HTML(JSP ) -> Springboot로 전달 : @PathVariable, @ModelAttribute 객체를 Springboot -> HTML(JSP)로 전달 : Model 객체 (Model model : model 이라는 택배상자에 보내서 전.. #55 [Springboot] Board 연습문제 (#1) CRUD : 4가지 대표 SQL 명령어 1) 추가 : insert, create : PostMapping 2) 조회 : select : GetMapping 3) 수정 : update : PutMapping 4) 삭제 : delete, remove : DeleteMapping select : 전체조회 연습 2) BoardService 클래스를 만들고 findAll() 함수를 정의한다. BoardController 클래스를 만들어서 getBoardAll() 함수를 정의하고, 샘플데이터 뷰로(jsp : board_all.jsp) 전송해 보세요. DB 접속하는(조회/수정/추가/삭제) 클래스 : BoardDao 1. BoardService 1. BoardService 클래스를 만들기 위해 @Service 어노테이.. #55 [Springboot] delete(삭제) 삭제 : 간단함 Service : 함수를 만들고 Controller : Service에서 만든 함수를 불러와서 실행 1. DeptService에서 함수 생성 2. DeptController 3. update_dept.jsp 삭제 form action에 "/exam01/dept/delete/${dept.dno}" 라고 쓰기 연습 6) // MemberService 클래스를 만들고 removeById() 함수를 정의한다. // MemberController 클래스를 만들어서 deleteMember() 함수를 정의 // update_member.jsp 삭제버튼과 url 를 추가한다. // - url : /member/delete/{eno} // - redirect url : /exam01/member 1. M.. #54 [Springboot] update(수정) 수정 : 젤 복잡함...(상세조회가 끼여있음) 1. DeptService 새로운 부서 추가할 때는 부서번호가 없음 기존 회사에 부서가 있다면 부서번호가 있다. 근데 기존에 있는 마케팅 부서 10번 말고, 영업부 부서를 만든다하면, 만드는 시점에 부서번호를 부여함. 새로운 부서명, 위치를 화면에 넣고, 부서번호는 시퀀스 이용해서 자동생성함 => 새로운 부서 만들 시 부서번호는 없음 => 기본적으로 null 이 들어가있음 => 마케팅이 서울에서 부산으로 온다. 그럼 위치만 바꾸면 됨 근데 기존에 있는 부서라서(마케팅 부서인 10번), 10번이라는 부서 번호가 이미 있음 값이 없는 null이면 자동생성, 있으면 수정 if null이면 자동생성 if else 면 부서 수정 2. DeptController - 상.. #54 [Springboot] insert(추가) 저장 웹 전송(약속) : get(조회:select), post(추가:insert) put(수정:update), delete(삭제:delete) - get 방식 :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값을 입력해서 전송하는 방식 - post/put/delete 방식 : 눈에 안보이고 내부적으로 숨겨서 전송되는 방식 1. 부서 추가 페이지 열기 함수 1. DeptService에 부서정보 저장하는 함수 작성 2. DeptController 3. exam01 - dept - add_dept.jsp 파일 추가 taglib 링크 추가 4. application.properties 에 추가 : PUT, DELETE 방식을 form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듬 5. add_dept.jsp에 input 양식 쓰기 + css가서 아쿠아 .. 이전 1 2 3 4 5 6 7 다음